"초교 한때 '왕따' 중학교 가서도 치유안돼" "분노.자살충동 등 중학교 때 계속....
다움이
0
7602
2011.05.31 10:22
"초교 한때 '왕따' 중학교가서도 치유안돼"
"분노ㆍ자살충동 등 중학교 때 계속…별도 배려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관련기사 초등학교 때 따돌림을 받은 학생들은 중학교에 진학하며 피해에서 벗어나더라도 계속 정신적 상처가 낫지 않고 우울과 자살 충동 등에 시달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교육학과 대학원의 권재기(박사과정 수료)씨는 국내 초교 4학년생 2천721명을 중학교 2학년까지 5년간 추적 조사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종단연구 자료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16일 밝혔다.
우선 권씨는 이들이 '따돌림 경험이 거의 없었다(A계층)' '초교 4∼6학년 때 왕따 당하다 중학교 입학 이후 피해가 없어졌다(B계층)' '5년 동안 꾸준히 따돌림을 당했다(C계층)' 등 3개 그룹으로 나뉜다는 점을 발견했다.
A계층은 2천628명, BㆍC계층은 각각 33명과 60명으로 집계됐다.
권씨는 이어 아이들이 5년 동안 우울과 분노, 공격성, 자살 충동 등을 얼마나 호소했는지를 설문 결과에 따라 분석해, B계층의 학생들이 중학생이 되어도 정신적 상처가 A계층 수준으로 치유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예컨대 불안의 경우, B계층은 이 증상의 전반적인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가 초교 4학년 때 5.5 였고 중 1∼2학년 때도 5.4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에 A계층의 불안 계수는 4.9∼ 5 였고, C계층은 5.8∼6 사이를 오르내렸다.
자살 충동도 중 1∼2 때 B계층의 계수가 6.3∼6.5로 A계층(5.3)보다 훨씬 높았다. 우울과 또래 스트레스, 분노, 공격성에서도 결과는 비슷했다.
권씨는 "따돌림에서 벗어난 아이들은 현재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통념을 실증적으로 반박한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초교 때만 따돌림 경험이 있는 학생에게도 별도로 상담 등의 배려를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분노나 스트레스 등이 치유되지 않고 쌓이면 성장 과정에서 이상 행동으로 폭발할 개연성이 크다. 당장 왕따 피해가 있는지만 중시하는 학교 현장의 시각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씨는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국내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인용지수가 가장 높은 학술지인 '한국아동복지학' 최근호(34호)에 발표했다.
"분노ㆍ자살충동 등 중학교 때 계속…별도 배려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관련기사 초등학교 때 따돌림을 받은 학생들은 중학교에 진학하며 피해에서 벗어나더라도 계속 정신적 상처가 낫지 않고 우울과 자살 충동 등에 시달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교육학과 대학원의 권재기(박사과정 수료)씨는 국내 초교 4학년생 2천721명을 중학교 2학년까지 5년간 추적 조사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종단연구 자료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16일 밝혔다.
우선 권씨는 이들이 '따돌림 경험이 거의 없었다(A계층)' '초교 4∼6학년 때 왕따 당하다 중학교 입학 이후 피해가 없어졌다(B계층)' '5년 동안 꾸준히 따돌림을 당했다(C계층)' 등 3개 그룹으로 나뉜다는 점을 발견했다.
A계층은 2천628명, BㆍC계층은 각각 33명과 60명으로 집계됐다.
권씨는 이어 아이들이 5년 동안 우울과 분노, 공격성, 자살 충동 등을 얼마나 호소했는지를 설문 결과에 따라 분석해, B계층의 학생들이 중학생이 되어도 정신적 상처가 A계층 수준으로 치유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예컨대 불안의 경우, B계층은 이 증상의 전반적인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가 초교 4학년 때 5.5 였고 중 1∼2학년 때도 5.4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에 A계층의 불안 계수는 4.9∼ 5 였고, C계층은 5.8∼6 사이를 오르내렸다.
자살 충동도 중 1∼2 때 B계층의 계수가 6.3∼6.5로 A계층(5.3)보다 훨씬 높았다. 우울과 또래 스트레스, 분노, 공격성에서도 결과는 비슷했다.
권씨는 "따돌림에서 벗어난 아이들은 현재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통념을 실증적으로 반박한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초교 때만 따돌림 경험이 있는 학생에게도 별도로 상담 등의 배려를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분노나 스트레스 등이 치유되지 않고 쌓이면 성장 과정에서 이상 행동으로 폭발할 개연성이 크다. 당장 왕따 피해가 있는지만 중시하는 학교 현장의 시각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씨는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국내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인용지수가 가장 높은 학술지인 '한국아동복지학' 최근호(34호)에 발표했다.